요즘 MBTI가 한창 인기가 많더라구요! MBTI에서의 N과 S 차이처럼 '이 단어를 보면 과학자와 대중의 시선이 극명하게 갈린다고 합니다.
어떤 단어들일지 예측이 되시나요?

여러분은 '이 단어'를 보고 어떤 생각이 떠오르는 지 보세요!
"noise"라는 단어를 보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하나,
둘,
셋!
혹시 원치 않았던 detection이나 signal이 데이터 분석 중에 잡혔던 경험을 떠올리셨나요? 그렇다면 당신은 이미 과학자의 삶을 살고 계시네요! 저는 형광 현미경으로 세포 사진을 보며 background에 잡힌 fluorescent signal을 떠올렸는데요, 과학과 거리가 먼 일반 대중분들은 '시끄러운 소리'를 먼저 떠올리신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우리 과학자들은 이 단어를 signal processing에서의 scientific jargon으로 사용하고 있죠. 'noise'외에도 이런 단어들은 꽤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Artifact
이 단어는 일반적으로 인공물, 인공 유물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천연물이 아닌 사람이 만든 어떤 것을 말하는 거죠. 과학자들은 비슷한 맥락이긴 하지만 조금 다른 의미로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어요. 주로 장비나 기술적인 부분으로 인해 발생한 데이터 상의 misleading alteration 또는 error를 말합니다.
Principal
이건 좀 쉬운 표현인데요, 일반적으로 ‘교장’을 말할 때 사용되죠? 과학자들은 ‘primary’의 의미로 이 단어를 사용한답니다.
Mean
이것도 쉬운 표현이에요! ‘심술궂은, 못된’과 같은 의미를 가지는 단어이지만, scientific term으로 사용할 때는 ‘평균값’을 말합니다.
Organic
마트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단어죠! ‘유기농’…이 생각나셨나요? 하지만 organic compound는 ‘carbon-containing molecule’의 scientific meaning을 가진답니다.
조금 더 생물학적인 단어들로 들어가 볼까요?
Base
일반적으로는 ‘기초’, ‘토대’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생물학을 공부하는 저에게는 ‘염기’라는 뜻이 가장 먼저 떠올랐답니다!
Gel
일반 대중분들은 머리에 바르는 젤을 먼저 떠올리신다고 하네요. 여러분은 어떠셨나요? 저는 agarose gel이 가장 먼저 떠오르더라구요…. 생물학에서는 macromolecule을 분석하는 도구로 gel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Well
‘우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생물학에서는 어떨까요? 세포를 키우는 플레이트 중에 6-well plate라는 것도 있고, gel electrophoresis에서는 샘플을 load하는 칸을 well이라고 표현합니다.
Culture
이 단어는 어떠세요? ‘문화’가 떠오르셨나요? 생물학에서는 세포를 키우는 걸 cell culture라고 표현한답니다!
Lane
일반적으로는 자동차가 달리는 도로를 의미하지만, 이 역시 gel electrophoresis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입니다. 샘플이 load된 각각의 열을 lane으로 표현하곤 하죠. 하지만 formal한 표현은 아니니 lab report에서는 지양하는 것이 좋아요. 생물학자들이 쓰는 slang에 해당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들이 scientific jargon으로 쓰이고 있다니, 흥미롭지 않나요? 여러분은 이 단어들을 보고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셨나요?
요즘 MBTI가 한창 인기가 많더라구요! MBTI에서의 N과 S 차이처럼 '이 단어를 보면 과학자와 대중의 시선이 극명하게 갈린다고 합니다.
어떤 단어들일지 예측이 되시나요?
여러분은 '이 단어'를 보고 어떤 생각이 떠오르는 지 보세요!
"noise"라는 단어를 보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하나,
둘,
셋!
혹시 원치 않았던 detection이나 signal이 데이터 분석 중에 잡혔던 경험을 떠올리셨나요? 그렇다면 당신은 이미 과학자의 삶을 살고 계시네요! 저는 형광 현미경으로 세포 사진을 보며 background에 잡힌 fluorescent signal을 떠올렸는데요, 과학과 거리가 먼 일반 대중분들은 '시끄러운 소리'를 먼저 떠올리신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우리 과학자들은 이 단어를 signal processing에서의 scientific jargon으로 사용하고 있죠. 'noise'외에도 이런 단어들은 꽤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Artifact
이 단어는 일반적으로 인공물, 인공 유물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천연물이 아닌 사람이 만든 어떤 것을 말하는 거죠. 과학자들은 비슷한 맥락이긴 하지만 조금 다른 의미로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어요. 주로 장비나 기술적인 부분으로 인해 발생한 데이터 상의 misleading alteration 또는 error를 말합니다.
Principal
이건 좀 쉬운 표현인데요, 일반적으로 ‘교장’을 말할 때 사용되죠? 과학자들은 ‘primary’의 의미로 이 단어를 사용한답니다.
Mean
이것도 쉬운 표현이에요! ‘심술궂은, 못된’과 같은 의미를 가지는 단어이지만, scientific term으로 사용할 때는 ‘평균값’을 말합니다.
Organic
마트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단어죠! ‘유기농’…이 생각나셨나요? 하지만 organic compound는 ‘carbon-containing molecule’의 scientific meaning을 가진답니다.
조금 더 생물학적인 단어들로 들어가 볼까요?
Base
일반적으로는 ‘기초’, ‘토대’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생물학을 공부하는 저에게는 ‘염기’라는 뜻이 가장 먼저 떠올랐답니다!
Gel
일반 대중분들은 머리에 바르는 젤을 먼저 떠올리신다고 하네요. 여러분은 어떠셨나요? 저는 agarose gel이 가장 먼저 떠오르더라구요…. 생물학에서는 macromolecule을 분석하는 도구로 gel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Well
‘우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생물학에서는 어떨까요? 세포를 키우는 플레이트 중에 6-well plate라는 것도 있고, gel electrophoresis에서는 샘플을 load하는 칸을 well이라고 표현합니다.
Culture
이 단어는 어떠세요? ‘문화’가 떠오르셨나요? 생물학에서는 세포를 키우는 걸 cell culture라고 표현한답니다!
Lane
일반적으로는 자동차가 달리는 도로를 의미하지만, 이 역시 gel electrophoresis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입니다. 샘플이 load된 각각의 열을 lane으로 표현하곤 하죠. 하지만 formal한 표현은 아니니 lab report에서는 지양하는 것이 좋아요. 생물학자들이 쓰는 slang에 해당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들이 scientific jargon으로 쓰이고 있다니, 흥미롭지 않나요? 여러분은 이 단어들을 보고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셨나요?